1.[비염관련자료]
편집--심산아들
출처--인터넷외
2.처방
에서는 비염의 경우 원인과 증상에 따라
갈근탕.「청비환」과 "가감소청룡탕" 가미통규탕. 형개연교탕등을 사용한다.
비염은 한방치료가 효과적이다
비염은 다른 알레르기 질환과 마찬가지로 한방으로 치료하면 아주 효과도 좋고,
근본적인 치료가 됩니다.비염은 한의학적으로 비췌, 비구, 구췌라고 하고,
특이체질에 의해 생기는 것으로 봅니다.
한의학은 '비염이 선천적으로 폐(肺, 호흡기)․비(脾,소화기)․신(腎,비뇨 생식기 및 내분비계)의 기능에 이상이 있거나 허약한 사람에게 생기며, 그것이 코부분의 과민증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합니다. 특히 폐의 기능이 정상적이지 않으면 비염이 오는 것으로 여기는데, 코는 폐가 외부의 기운과 연결되는 통로이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으로는폐의 기능이 약하고 찬 기운에 민감한 사람에게 비염이 잘 생깁니다.비염의 한방치료는 코의 기능을 주관하는 폐의 기능을 정상화하고 전신의 면역력을 높이는 방향으로 진행됩니다. 먼저 코에 병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병의 근원이 어디인가를 파악하고 나서 처방에 나서는데요. 주로 소염작용과 호흡기를 터주는 작용이 있는 약물, 면역을 강화시키는 약물이 병행해 쓰입니다.
좀 더 자세히 살펴보면 한방에서는 비염을 크게 풍한형, 풍열형, 비허형으로
나누어 치료합니다.
.
1)풍한형 비염
풍한형은 재채기가 나고 콧물이 나는데 콧물의 양이 많고 색이 투명합니다. 코점막이 창백한 경우가 많고 찬 것을 만나면 증상이 더 심해집니다. 주로 손발이 차면서 추위에잘 견디지 못하는 체질에서 잘 생깁니다. 또 풍한형 비염은 감기가 제대로 낫지 않다가오는 수가 많으며, 두통 발열 등 일반적인 감기 증상을 함께 보이기도 합니다. 풍한형 비염의 경우 증상이 있을 때는 몸 안에 찬 기운을 없애주고 증상을 멈추게 하는 치료를 합니다. 통규탕, 창이자산 등이 대표적인 처방입니다
주증상: 풍한감기증상,맑은콧물,비색
처방: 소청룡탕(풍한+수음),갈천신(비색이 심할 때),갈근탕
* 소청룡탕
▣ 小靑龍湯
麻黃 |
芍藥 |
細辛 |
乾薑 |
甘草 |
桂枝 |
五味子 |
半夏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三錢 |
|
|
|
|
|
|
|
|
|
|
|
|
|
|
|
|
|
細辛, 乾薑 : 물을 말린다. 芍藥 五味子 : 수렴
麻黃, 桂枝, 芍藥 : 麻黃湯 개념. (이를 cover하기우해 수렴제를 加 )
兩治- 解表산한, 온폐화음. 효과가 현대적으로 입증된 處方이다.
〔效能〕
解表散寒, 溫肺化飮.
〔主治〕
外感풍한으로 수음이 內停되어 惡寒發熱하나 갈증은 없고 무한부종, 신체동중, 胸痞, 乾嘔, 咳喘, 脈浮.
〔方解〕
형한음냉즉상폐
수,한이 相搏하여 수한이 폐를 공격 : 咳嗽 천식.
수가 心下에 머물면 : 胸痞
수가 胃中에 머물면 : 乾嘔.
水飮이 外溢하여 浮腫身重.
麻黃, 桂枝 : 發汗解表, 宣肺平喘
白芍藥 桂枝 : 調和營衛,
乾薑, 細辛 : 溫肺化飮, 辛散風寒.
五味子 : 溫斂肺氣. 止咳.( 肺氣의 耗散을 방지 )
半夏 : 燥濕化痰.
〔運用〕
風寒에 外感되어 수음이 內庭된 증을 治療 散寒行水,( 惡寒發熱, 不渴無汗, 咳喘이 辨證의 要)
# 渴症 : 去 半夏, 加 瓜蔞根.
# 약간 利 : 去 바황, 加 芫花( 炒 )
# 噎( 목맬 역 ) : 去 麻黃, 加 附子.
소변불리로 인한 少腹滿 : 去 麻黃, 加 茯苓.
喘 : 加 杏仁.
외한내음 뿐만 아니라. 咳嗽, 담이 맑고 묽으며, 백색, 거품이 있고, 설은 淡, 舌苔白滑에 사용가능
加 石膏 = 소청룡가석고탕. ( 小靑龍湯 + 裏熱證, 煩躁 )
〔附方〕
射干麻黃湯
〔受業〕
주의사항.
신조한 약이기에 구복불가.
내부에 열이 있는 사람은 불가.
폐결핵, 각혈, 객담이 붉으면 불가.
cf) 타처방과 비교.
發表祛水 :
小靑龍湯 : 祛寒溫心, 表證偏寒.
越婢湯 : 淸熱疏散, 表證偏熱
降逆氣 止喘 袪痰.
小靑龍湯 : 祛邪水
蘇子降氣湯 : 理氣
小靑龍湯 : 외한내음 물기를 덜 발산시킨다.
大靑龍湯 : 외한내열 : 물기를 강력하게 발산시킨다. 發汗력이 小靑龍湯보다 우세.
가금曰 실제로는 桂枝湯에서 출발한 것이다.
桂枝湯 去 大棗 ( 느끼한 성질, 심하의 수습때문에. )
加 麻黃 ( 발표 )
加 細辛 ( 축수 )
加 半夏 ( 止嘔토 )
加 五味子(폐,신) 乾薑 (건비 )→ 치폐신, 지해수.
乾薑 |
生薑 |
內部를 溫. 장작에 비유. 구들장을 덮혀서 水氣를 말린다 |
表部를 溫. 숯불, 창문을 여는 것 같다. |
五味子의 수렴성을 견제하는 역할. 麻黃 細辛의 발표하는 힘을 지원. |
장병성 曰 芍藥, 五味子, 甘草는 수렴제로
① 肺氣가 너무 발산됨을 방지.
② 麻黃, 桂枝의 극한 성질을 죽인다.
③ 기관의 평형.
④ 방제의 평형.
乾薑 |
五味子 |
溫肺陽而化飮 |
收肺氣而定喘 |
細辛과 配合
加 麻黃 , 附子, 乾薑, 五味子. = 風寒濕痹에 좋다.
* 加減法 ( 喘證, 心下水氣 )
內 : 乾薑, 細辛, 半夏 : 水氣를 말린다.
厚朴 : 滿證을 제거.
外 : 射干, 紫菀, 款冬花, : 症狀을 막아주는 약.
* 일본에서 말하는 적응증.
삼하부의 수성이 들릴 때.
상복부의 답답한 느낌.
보통 체격.
惡寒, 發熱, 頭痛이 있다.
콧물이 잦은 사람 (알레르기성 비염 ), 재체기, 묽은 가래가 잦은 형태.
小兒科.
石膏를 넣어서 사용하기도 한다. ( 氣分證 )
이 약은 내부에 들어가기때문에 별 영향이 없다. 작용부위가 다르다.
| |
麻黃 |
芍藥 |
表證이 심한 초기감기, 천식에는 麻黃증가. |
慢性일때는 芍藥을 증가. 량을 늘리면 다른 약을 끌어서 內部로 들어간다. - 少建中湯 |
* 갈천신
* 갈근탕 :
葛根 12.0 麻黄 生姜 大棗 各 6.0 桂枝 白芍 炙甘草 各 4.0
→ 辛温解表 . 生津 . 舒筋
“太陽病, 項背強几几, 無汗郡風, 本方主之”
“太陽与陽明合病者, 必自下痢, 本方主之”
본방은 감기약에 대명사(일본의 예임, 국내는 葛根湯보다 오히려 双和湯이 대명사가 되어 있음)
∙ 腸炎 초기의 복통과 裏急後重을 수반하는 설사(이때의 설사는 배탈이 나서 나오는 것처럼 죽죽 나오는 것이 아니라 묽게 나오는 열성 설사이다)
∙ 산후에 젖이 부족하거나 젖몸살로 악한(蒲公英을 곁들여 먹거나, 국물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더욱 좋다. 또 排膿散及湯과 합방하여 쓰면 좋고, 땀이 많으면 桂枝湯을 합방하며, 가벼운 해열진통제와 같이 써도 좋다)
∙ 급성 두드러기로 발적이 넓고 딴딴할 때와 五十肩
∙ 麦粒腫(초기, 화농경향이 보이면 排膿散及湯과 합방)
∙ Allergy성 비염 . 歯痛 . 중이염 . 눈병 등에도 응용할 수 있다.
∙ 체표에 생긴 급성 화농증으로 열이 나며 통증이 있다.
∙ 야뇨증의 아이로 잠에 취하여 깨어도 눈이 떠지지 않는 증상에 麻黄湯이나 葛根湯을 사용한다.
단 발열증상이 있거나 없거나 상관없이 표실증(즉 무한)인 경우에 활용해야 한다. 麻黄은 표습을 발산하여 노폐물을 제거하기 때문에 땀을 빼면 시원하다고 하는 경우가 좋다. 葛根은 근육에서, 麻黄은 표피에서 노폐물을 제거하고 여기에 桂枝가 순환을 촉진하여 작용을 보조한다.
열이 있을 경우에는 땀으로 구분할 수 있지만 일반 잡병에서는 구분하기가 어려우므로 이때는 맥으로 구분해야 한다.
장기간 지속할 필요가 있을 때는 八味를 합방하여 쓴다.
본방은 太陰人(熱, 寒)한테 잘 듣는 처방으로 알려져 있으나 실제로는 체질과 무관하게 응용되며, 땀을 내면 몸이 가뿐하다고 할 때 듣는다. 특히 겨울철에 많이 쓴다.
본방은 감기초기에서부터 고혈압, 설사, 신경통, 두드러기, 발진 등에 광범위하게 쓰인다. 같은 고혈압환자도 뚱뚱하고 육식을 많이 먹어 기름기가 번질번질하고 배도 건실하면 防風通聖散証이 아니가 확인하고, 다리도 힘이 없고 허리도 자주 아프다고 하면 六味나 八味類型으로 보고 변방을 시키며, 늘 뒷목이 뻣뻣하여 못 견디겠다고 하며 열감도 느끼면 본방에 가감을 하여 써야 한다.
葛根이 주체에 좋다고 하며, 일반 민간에서는 술을 마신 후 속이 메스껍고 더부룩하여 불쾌할 때 葛根 생즙을 만들어 마시면 주독이 풀린다. 또 주독뿐만 아니라 평소 위장이 좋지 못할 때도 사용하면 긴장된 위장점막이나 근육을 풀어주는 작용이 있지 않나 생각된다. 칡 술을 마셔도 그 다음날 아침에 속이 쓰리거나 숙취가 생기지 않는다. 하지만 몸이 냉하고 찬 것을 복용하면 좋지 않는 사람한테는 주의해야 한다.
∙ 오심 → 合 小半夏加茯苓湯(=葛根加半夏湯의 뜻) 或 小柴胡湯
∙ 표열 심 → 合 小柴胡湯 + 桔梗石膏
∙ 肩凝 . 五十肩 . 신경통 → 合 加工附子
∙ 合 桔梗石膏 + 薏苡仁 → 蓄膿症
∙ 渇症, 咽痛 → 合 桔梗石膏 → 화농증상이 보이면 加 金銀花
∙ 合 双和湯(=双葛湯) → 脈은 부하나 麻黄으로 강하게 발한시킬 수 없을 때
2).풍열형 비염
풍열형 비염은 재채기가 나고 콧물 코막힘이 있는데, 특히 콧물이 노랗고 끈끈한 경향을 띕니다. 풍한형과는 달리 몸 안에 과다한 열이 비염을 일으키는 것이므로 코의 열을 내려주는 치료방법을 사용하게 됩니다. 가미방풍통성산이 대표적인 처방입니다.
증상: 풍열감기, 진하고 탁한 코
처방: 은교산, 황련해독탕,형개연교탕(중이염)
*은교산
▣ 銀翹散
連翹 |
金銀花 |
苦桔梗 |
薄荷 |
淡竹葉 |
生甘草 |
荊芥穗 |
淡豆豉 |
牛蒡子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一兩 |
一兩 |
六錢 |
六錢 |
四錢 |
五錢 |
四錢 |
五錢 |
六錢 |
|
|
|
|
|
|
|
|
|
|
|
|
|
|
|
|
〔效能〕
疏散風熱, 淸熱解毒
〔主治〕
溫病초기의 發熱 微惡風寒, 無汗 혹은 有汗不暢, 頭痛, 口渴, 咳嗽, 喉痛, 舌尖紅, 舌苔薄白 혹은 薄黃, 脈浮數의 症狀.
〔方解〕
溫病초기 邪氣 在衛分하여 正邪相爭으로 發熱 微惡風寒, 無汗 혹은 少汗 頭痛,
肺氣不宣하여 咳嗽 風熱이 上壅咽喉여 咽痛.
溫邪 : 咽乾口渴.
金銀花 連翹 : 淸熱解毒, 輕宣透表.
荊芥穗 薄荷 淡豆豉 : 辛散表邪, 透熱外出.
〔運用〕
辛凉平劑 : 溫病初期의 風熱表證.
( 發熱 微惡風寒, 口渴, 舌紅, 舌尖紅, 舌苔薄白, 脈浮數이 辨證의 주.)
胸悶 : 加 藿香, 鬱金
渴症 : 加 天花粉
項重咽痛 : 加 馬勃 玄蔘
衄血 : 去 荊芥수 豆豉 , 加 白茅根, 側柏炭, 梔子炭.
咳 : 加 杏仁
2~3일뒤에 병사가 폐에 있다가 점점 裏로 들어갈려면 : 加 細生地, 麥門冬.
不解하거나 小便短 : 知母, 黃芩, 梔子. 麥門冬, 生地. ( 음기를 도운다. )
麻疹 초기에 상용. ( 衛分風熱症狀에 활용. )
癰瘡初期의 風熱表證. ( 加 蒲公英 大靑葉 紫花地丁 ) -> 淸熱解毒, 散結消瘡.
〔附方〕
3)비허형비염
비허형 비염은 비장, 즉 소화기가 허한 것이 폐의 기능을 떨어뜨리는 쪽으로 영향을 미치고그로인해 비염 증상이 나타나는 것입니다. 만성형으로 재채기가 나고 코가 심하게 막히는 것이 특징이며, 평상시에도 늘 기운이 없거나 쉽게 피곤하고 잘 먹지 않거나 설사를 자주
하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이런 비염에는 비장을 보해주면서 비염 증상을 수그러뜨리는 치료법을 쓰는데 보중익기탕, 가미보중익기탕 등이 대표적인 처방입니다.그 밖에도 비염증상에 축농증을 겸한 것에는 형개연교탕을 쓰는 등, 한방에서는 같은 비염이라는 병명에도 체질이나 상태에 따라 각자에게 꼭 맞는 치료약을 쓰고 증상이 어느정도 호전되면 보폐양혈탕, 육미지황탕 등의 약으로 전신의 기능을 높여줍니다 선방패독탕을 투약하는 것이었습니다. 선방패독탕은 선방활명음과 패독산을 합방 가감한 처방입니다. 그리고 이 약을 복용한 뒤 증상이 호전되는 시기에는 보폐양혈탕, 육미지황탕 등 체질과 증상에 따라 면역력을 높이는 치료를 했는데 매우 놀라운 효과를 본 것입니다.
만성적 허약성 비염,날씨변화에 민감, 전신기허증상
*補中益氣湯[上通 22]
[構成]
黃 芪 1錢5分
人 蔘
白 朮
甘 草 各 1錢
當歸身
陳 皮 各 5分
升 麻 性寒 淸胃 牙齒痛 解毒 升擧 發陽明之汗
火在上非升麻不散 氣陷下非升麻莫擧
柴 胡 各 3分 入經達氣 入絡和血 散諸經之血結氣聚 除心下煩熱 痰熱結實
治骨蒸勞熱 婦人經水適來適斷
[主治]
治中氣不足 勞倦身熱 手足倦怠 飮食無味 眼睛無力 口中白沫 當臍動悸
脈數大無力 語言輕微 好熱飮渴 或入房後外感
[加減 및 附方]
가]加減배합
* 血不足 加 당귀 * 精神短少 인삼, 오미자
* 肺熱咳嗽 去 인삼 * 咽乾 加 갈근
* 두통 만형자 * 痛甚 加 천궁
* 腦痛 加 고본, 세신 * 풍습 상박성 一身盡痛 加 강활, 방풍
* 痰이 있을 때 加 반하, 생강 * 胃寒氣滯 加 청피, 백두구, 목향, 익지인
* 腹脹 加 지실, 후박, 목향, 사인 * 腹痛 加 백작약, 감초
* 熱痛 加 황련 * 咽痛 加 길경
* 能食而心下痞塞 加 황련 * 有寒 加 육계
* 濕勝 加 창출 * 陰虛 去 승마 加 숙지황, 산수유, 산약
* 大便秘結 대황을 酒외하여 加
* 治咳嗽에 있어서,
봄에는 加 선복화, 관동화
여름에는 加 맥문동, 오미자
가을에는 加 마황, 황금
겨울에는 加 根節을 去하지 않은 마황을 가함. 大寒에는 加 건강
나]附 方
調中益氣湯 - 去 당귀, 백출 加 목향, 창출
脾胃不調로 胸滿肢倦하고 食少短氣하며 口不知味하여 食入反出한 증상 치료.
調中益氣湯 - 加 백작약, 오미자
氣虛多汗을 치료하고 나머지는 위와 같다.
蔘朮益胃湯 - 창출을 倍加, 반하, 황금 各 3 分을 加
내상勞倦과 燥熱短氣하며 口渴無味하고 대변당설 등의 증상을 치료.(동원)
升陽順氣湯 - 去 백출 加 초두구, 신곡, 반하, 황백
飮食勞倦所傷으로 인하여 滿悶短氣하고 不思食하며 不知味하고 時惡寒 등의 증
益胃升陽湯 - 各 황금炒, 신곡炒
부인의 經水不調와 脫血후의 食少水瀉를 치료.(동원)
*삼소음
前胡 葛根 各 12.0 吉更 只角 半夏 陳皮 蘇葉 茯苓 各 6.0 生姜 人蔘 大棗 炙甘草 各 4.0 木香 2.0
→ 化痰 . 化湿 . 止咳 . 補気健脾 → 湿痰의 咳嗽 . 脾胃湿困
본방은 기허의 감기에 대한 방제이며 평소 위장이 약한 사람이 감기에 걸려 기침과 가래가 계속될 때 사용한다. 즉 비위를 돌보면서 감기기운을 쫓으려 할 때 쓴다. 가벼운 해표작용도 있기 때문에 오한, 두통, 기침, 음성이 무겁고 콧물을 수반하는 경우에도 사용한다. 단 열이 너무 많은 감기에는 荊防敗毒散을 쓰는 것이 좋다. 특히 여름철의 감기에 활용하면 좋으며 일반적으로 기침부터 시작하는 감기에는 본방이 제일 먼저 선택된다. 가래가 많으면 三子湯(蘇子 白芥子 乃卜子)을 가하면 더욱 좋다. 또 분비물이 많은 알레르기성 비염에도 응용할 수 있다. 위장이 약한 사람의 감기 초기에는 香蘇散도 좋고 두 처방 모두 임신중의 감기에도 활용할 수 있다.
본방은 임신중이나 노인, 소아에게 안심하고 활용할 수 있는 처방이다.
활용할 기회가 많은 처방이지만 별로 응용을 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위장이 약한 사람의 감기라면 본방과 香蘇散 중에서 선택해야 뒤탈이 없다
《目標》
① 咳嗽
② 담이 많다.
③ 콧물이 나온다.
④ 코가 막힌다.
⑤ 열이 있다.
⑥ 가벼운 두통과 오한이 있다.
⑦ 식욕부진
⑧ 오심과 구토
⑨ 위부의 더부룩한 느낌과 복부팽만감, 복통
⑩ 피로하기 쉽고 원기가 없다.
4) 알레르기성
기온차에 민감하므로 면역기능향상에 주안
*풍한- 소청용탕
*풍열- 은교산,형개연교탕
*담음-영계출감탕
*음허-육미,자음강화
*기허-보중익기,삼령백출산
*양허-팔미
---. 호흡형 - &알레르리성 비염(온리발표법)
소청룡탕+상백피,맥문동,과루인 7, 패모,선퇴5푼
1-2제, 3제 = 코막힘 동반
오적산 = 위 증세 +소화력 약한 사람
갈근탕 = 피부 뚜꺼운 사람
신이산, 창이자산 = 축농증
계지탕, 녹용대보탕 = 피부가 얇은 사람
&기관지 천식 1-6제
소청룡탕
소청룡탕 + 금수육군전
오적산
청상보하탕
오요탕
----피부형 - &알레르기 피부염(*우선 숙변제거-비급환, 온백원, 자금정, 승기탕) 1-3제
반복성, 접촉성 - 정전가미 이진탕
한랭성 (날씨가 추워지거나 햇빛보면)-복원단, 오적산, 부양조위탕, 건리탕
하절기 - 형방패독산, 청기산
&아토피 피부염(태열, 주로 10세 이하)
사위탕- 고체열+소화력이 강한 사람
소풍탕- 얼굴부위의 가려움+소화력 중간
당귀음자-피부건조+얼굴에 흰가루
정전가미이진탕-소화불량+대장기능 약한자
방풍통성산-체열 높고 열성
5) 습열형 비염
용담사간탕(간담습열),황련해독탕(비위습열)
6)음허형 비염
육미,자음강화
7)어혈형
3.비염 치료를 돕는 식품
신이 달인 물: 개화하지 않은 목련의 꽃봉오리를 말린 것이 신이 입니다. 폐의 기를 상승시켜 코의 기능을 회복 시켜 주기 때문에 한방에서 알레르기 비염이나 축농증, 코감기 치료에 두루 사용합니다. 신이와 함께 진피(귤껍질)나 박하를 달여 마셔도 좋습니다.
꽃이 피기 직전의 꽃망울을 채취해 그늘에 말려 쓰면 됩니다. 말린꽃 봉오리 10g을 약 6백cc의 물에 넣고 달여 양이 절반이 되면 불에서 내린 뒤 하루 3번 나눠 마십니다.
삼백초 달인 물: 염증을 가라앉히는 작용이 뛰어납니다. 비염뿐 아니라 두드러기, 여드름에도 도움이 되는 것이 바로 삼백초차입니다. 말린 삼백초 잎과 줄기 15g에 500cc의 물을 붓고 약한 불에서 1시간 정도 달여 차처럼 마시면 됩니다.
* 창이자 가루: 창이자는 도꼬마리의 씨를 말하는데 비염과 축농증에 효과가 있습니다. 열매를 엷은 다갈색이 될 때까지 볶아 가루로 만든 것을 하루에 3.5g을 3회로 나눠 복용하면 알레르기 비염에 효과적입니다. 하루 6g씩 물에 달여 먹어도좋고 창이자 잎을 그늘에서 말려 하루 10~15g씩 달여 먹기도 합니다.
* 도꼬마리, 인동덩굴 꽃, 꼭두서니 달인 물: 비염으로 코가 막히고 콧물이 나오는 데 쓰면 효과가 있습니다. 도꼬마리의 씨, 인동덩굴 꽃 각각 12g, 꼭두서니 10g을 적당량의 물에 달여 하루 3번 나누어 먹습니다.
* 솔잎차; 풍습을 다스리고 오장육부를 편하게 하는 솔잎을 말려 차로 만들어 꾸준히 먹으면 비염의 치료와 예방에도 큰 도움이 됩니다. 솔잎을 따서 잘 말린 다음 물에 넣고 색이 노랗게 우러날 때까지 은근하게 달이면 차가 됩니다.
* 연근즙: 연근은 비타민 C도 풍부하고 칼륨도 풍부해 각종 알레르기에 좋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비염에는 연근을 갈아 즙을 낸 다음 하루 반잔 혹은 한잔씩 꾸준히 먹습니다. 연근만 넣고 먹기 힘들면 당근을 약간 넣고 함께 갈아도 됩니다.
4.민간용법
*말린 삼백초, 인동, 차전초 등 세 가지를 각각 10g씩 물 600cc에 넣고 반이 될 때까지 달
여 하루 세 번 복용하면 좋습니다.
*산조인과 약간간의 감초를 넣고 졸여서 가끔 마시면 효과가 좋으며, 코가 막힐 때도 특효가 있습니다.
*아주까리의 껍질을 벗기고 찧어서 솜에 잘 싼 다음, 콧속에 넣어 3-4분 정도씩
가끔 갈아주면 효과가 좋습니다.
*연뿌리의 생것을 강판에 갈아 즙을 내서 하루에 2~3잔씩 1~2주일 정도
복용하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차전자(질경이) 50g에 물 4홉을 넣고 달여서 차 대신 마시면 효과가 좋습니다.
5. 기타
[축농증과 코피]
1).만성 축농증
급성 축농증은 매우 흔치 않다. 축농증이라고 하면 대부분 만성 축농증을 말한다. '부비동
염'이라고 하는 만성 축농증은 감염이 반복 또는 지속되므로 부비동 점막이 두꺼워지거나 부비동 내에 고름이 차 있는 만성 염증을 말한다.
부비동염에 사용되는 한방처방
증상치료와 함께 면역기능을 높이는 한방처방 코 때문에 신경질이 늘고, 집중력과 기억력이 떨어져 최대한 능력 발휘를 하지 못한다면 이처럼 안타까운 일은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증상이 있을 때는 증상 치료를 하고, 증상이 없어지면 면역기능을 높여주는 치료를 한다.
선방패독당 - 위장은 좋은데 열이 있는 증세에 좋다. 금은화․연교․패모․천산갑․조각
자․천화분․원시호 등을 쓴다.
방풍통성산 - 체격이 퉁퉁하고, 변비가 있는 실증의 축농증에 좋다. 활석․감초․석고․황
금․방풍 등을 쓴다.
형개연교탕 - 바람기운과 열기운이 귀․코 쪽으로 올라와 축농증이 생기는 경우에 좋다. 형
개․연교․방풍․당귀․천궁 등을 쓴다.
인삼패독산 - 감기 기운을 달고 살면서 축농증이 있는 아이에게 효과적이다. 시호․전호․
강활․독활․도라지․천궁․적복령 등을 쓴다.
여택통기탕 - 발병한지 오래 지나지 않은 경증으로 냄새를 잘 맡지 못하는 축농증에 좋다.
황기․창출․강활․독활․방풍․마황․생강 등을 쓴다.
2).코피
코피가 날 때 효과적인 민간요법
사궁산 - 향부자와 천궁을 2:1의 비율로 섞어 가루로 만들어서 1회 2g씩 1일 3회 복용하면
코피가 멎는다. 누구에게나 부작용 없이 잘 듣는다.
연뿌리 - 연뿌리를 갈아 생즙을 수시로 1찻숟갈씩 1일 5~8회 복용한다. 또는 연뿌리를 이용한 요리를 해서 먹어도 효과가 있다.
띠뿌리 - 한방에서 백모근이라고 하는데 생즙을 복용해도 좋으나 마른 띠뿌리 100g을 달여
1일 2회 복용하면 효과가 있다.
코피가 날 때 효과적인 한방처방
서각지황탕 - 서각은 코뿔소의 뿔인데, 야생동물보호법에 의해서 수입이 되지 않아 소뿔을 쓰기도 하면 검은 뿔소의 뿔을 쓰기도 한다. 속열 때문에 자주 코피가 날 때 효과적이다. 생
지황․적작약․목단피 등을 쓴다.
아과지육탕 - 소화불량․복통․설사 등의 소화기 이상 증상이 나타나면서 코피가 나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창출․후박․진피․반하․적복령 등을 쓴다.
삼황보혈탕 - 진액이 부족하여 피부가 건조해지면서 코피가 날 때 좋다. 승마․백작약․숙지황․당귀 등을 쓴다.
6. 기타 비방
1)신방비염탕--
신이8
방풍6
당귀,용안육,산조인,원지 황기,백출,복신,형개,세신,맥문동,오미자,박하,6
금은화4
목향4
감초4
2)中國中西醫結合雜誌
알레르기성 비염은 이비인후과에서 자주 접하는 질환이다. 현재 藥物治療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데, 이런 藥物등은 비록 통년성 알레르기성 비염(常年性過敏性鼻炎)을 완치하지는 못하더라도 症狀의 통제와 완화는 가능하다. 이 때 필수조건은 藥物의 장기복용인데, 아동에 있어서는 쉽게 약물부작용을 일으킨다.
* 臨床資料
관찰대상 53例중 男 33例, 女 20例, 연령 2-12歲, 병력기간 1-10年.
*. 治療方法
치료군의 中藥은 時毓民교수의 처방을 투여.
炙黃기12g 太子蔘10g 藿香10g 細辛3g 辛夷4.5g 防風10g 蟬衣4.5g 生甘草10g.
水煎服.
5歲이하 매회 10ml,5歲이상 매회 20ml, 2회/일.
1개월 복용.
*. 결과
噴체, 流涕, 鼻塞, 비갑개 腫大 모두 현저히 감소.
증상누적 점수는 치료 전 10.06점에서 치료 직후 2.56점, 2개월 후 3.06점을 나타냄.
*. 결론
알레르기성 비염은 中醫學의 鼻구 범주에 속하며, 그 발병은 肺氣虛弱,衛表不固에 風邪外襲, 肺氣不宣으로 보고 있다.
本 연구의 中藥은 補益肺氣, 祛風通竅, 宣開肺氣 작용이 있다.
方중 炙黃기, 太子蔘은 補益肺氣;藿香은 芳香開竅;蟬衣는 宣開肺氣;細辛, 防風, 辛夷는 祛風通竅;生甘草는 和中, 脫敏 작용이 있다
3)그냥 비염 비방
백작약 2냥
맥문동 시호 욱이인 5돈
신이 백지 길경 3돈
감초 1돈
풍열로 인한 것으로, 누런 코의 축농증에 응용해 볼만 하다. 허나 욱이인이 신약으로 있는
이유는 모르겠다.
'건강'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발효와 부패의 차이점 (0) | 2013.08.30 |
---|---|
[스크랩] 한방보험약 56방 처방명과 적응증 (0) | 2012.11.16 |
[스크랩] Re:통풍에 좋은 약 식품 음식 소개해 주세요 (0) | 2009.06.13 |
[스크랩] 한눈에 보이는 건강검진 (0) | 2008.04.10 |
[스크랩] Re:부신피질 강약 도표를 어디서 볼 수 있을까요? (0) | 2005.10.21 |